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정기간행물인 『공예+디자인』(2011~2024년)과 『공예문화』(2024~2025년)에서 ‘미래’가 포함된 386개의 문장을 모았다. ‘미래’가 놓인 행간에서 공예의 미래를 상상해보자. 3층의 벽면 그래픽은 386개의 문장중 몇가지 문장을 이미지화 한 것이다.
(…) 흥미롭게도 모든 책에서 '미래'가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 경우는 없었고 가장 많이 등장한 경우는 2016년 발행된 21호로 '복고'가 주된 키워드였다. 몇가지 흥미로웠던 문장을 꼽자면, '바닥은 현실, 기둥은 인물, 천장은 미래이자 과거로 작업하고 있다', '한국 공예의 미래는 ‘한국공예의 세계화’가 아니라 ‘한국 공예의 안방화’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미래적 복고 혹은 복고적 미래, 퇴행이냐 진보냐'가 있다. 문장을 하나하나 옮기며 미래가 놓인 앞뒤를 읽고 여러 공예의 미래를 떠올려보는 일은 즐거웠다. 혹시 이 작업을 보는 관객이 공예의 미래를 떠올리기 어렵다면 386개의 문장을 살피는 것은 자신이 포함된 공예의 미래를 상상하는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만약 이 문장들에 자신이 생각한 공예의 미래가 없다면, 문장을 추가해주길!
(…) 흥미롭게도 모든 책에서 '미래'가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 경우는 없었고 가장 많이 등장한 경우는 2016년 발행된 21호로 '복고'가 주된 키워드였다. 몇가지 흥미로웠던 문장을 꼽자면, '바닥은 현실, 기둥은 인물, 천장은 미래이자 과거로 작업하고 있다', '한국 공예의 미래는 ‘한국공예의 세계화’가 아니라 ‘한국 공예의 안방화’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미래적 복고 혹은 복고적 미래, 퇴행이냐 진보냐'가 있다. 문장을 하나하나 옮기며 미래가 놓인 앞뒤를 읽고 여러 공예의 미래를 떠올려보는 일은 즐거웠다. 혹시 이 작업을 보는 관객이 공예의 미래를 떠올리기 어렵다면 386개의 문장을 살피는 것은 자신이 포함된 공예의 미래를 상상하는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만약 이 문장들에 자신이 생각한 공예의 미래가 없다면, 문장을 추가해주길!








이름의 기술 Art of Naming
⠀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이름의 기술 Art of Naming》 전시 그래픽을 디자인했습니다.
아트디렉션: 정사록 @sa.rok.sarok
포스터모션디자인: 김기연 @kgimkgiyeon
⚪️
2024, Poster, SNS, Exhibition, Book
⠀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이름의 기술 Art of Naming》 전시 그래픽을 디자인했습니다.
아트디렉션: 정사록 @sa.rok.sarok
포스터모션디자인: 김기연 @kgimkgiyeon
⚪️
2024, Poster, SNS, Exhibition, Book





















기울기 기울이기 Art of Tilting
전시 《기울기 기울이기 The Art of Tilting》의 그래픽을 디자인했습니다. 색이 다른 원은 여섯 명의 작가를 상징하고, 원과 원의 사이를 이어 기울기를 기울였습니다.
http://artoftilting.kr
⠀
아트디렉션: 정사록 @sa.rok.sarok
그래픽디자인: 정사록, 최미선 @c30k100
웹 개발: 김도연 @kymidoh
모션디자인: 김기연 @kgimkgiyeon
기획 더리튼핸즈(문유진 @evedelune , 박소정)
⚪️
⠀
여섯 작가는 자신만의 기울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다른 이들의 기울기와 만나고, 자신의 기울기에 다른 기울기를 더합니다. 이렇게 주어진 기울기를 기울이는 행위는 변화를 만들어 냅니다. 차이 혹은 불편이라는 조건은 관찰과 감각을 거쳐 외부 세계에 관한 관심으로 변이합니다. …
자, 우리는 각자 어떤 기울기를 갖고 있을까요?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기울이게 될까요?
⚪️
2024, Poster, SNS, Website, Exhibition, Book
전시 《기울기 기울이기 The Art of Tilting》의 그래픽을 디자인했습니다. 색이 다른 원은 여섯 명의 작가를 상징하고, 원과 원의 사이를 이어 기울기를 기울였습니다.
http://artoftilting.kr
⠀
아트디렉션: 정사록 @sa.rok.sarok
그래픽디자인: 정사록, 최미선 @c30k100
웹 개발: 김도연 @kymidoh
모션디자인: 김기연 @kgimkgiyeon
기획 더리튼핸즈(문유진 @evedelune , 박소정)
⚪️
⠀
여섯 작가는 자신만의 기울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다른 이들의 기울기와 만나고, 자신의 기울기에 다른 기울기를 더합니다. 이렇게 주어진 기울기를 기울이는 행위는 변화를 만들어 냅니다. 차이 혹은 불편이라는 조건은 관찰과 감각을 거쳐 외부 세계에 관한 관심으로 변이합니다. …
자, 우리는 각자 어떤 기울기를 갖고 있을까요?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기울이게 될까요?
⚪️
2024, Poster, SNS, Website, Exhibition, Book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world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대학연계 프로그램 결과보고전
《다시 만난 세계》
첫 번째 기술짓기, 성균관대학교 미술학과 2024년 하반기 ‘융합캡스톤디자인아트아카이브’
두 번째 분류짓기,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협) 2024년 하반기 ’기록정보서비스‘⠀
2024, Poster, SNS, Exhibition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대학연계 프로그램 결과보고전
《다시 만난 세계》
첫 번째 기술짓기, 성균관대학교 미술학과 2024년 하반기 ‘융합캡스톤디자인아트아카이브’
두 번째 분류짓기,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협) 2024년 하반기 ’기록정보서비스‘⠀
2024, Poster, SNS, Exhibition






